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익산 통풍 (gout) - 바람만 불어도 아픈 통증 - 1

카테고리 없음

by 바른정형외과 2020. 6. 16. 17:13

본문


익산바른정형외과


 

 통풍이란 혈액 내에 요산의 수치가 높게 유지되면서 요산으로 형성되는 결정(crystal)들로 인해 발가락이나 무릎 관절 등의 조직에 심한 통증과 부종을 동반한 염증이 유발되는 대사성 질환입니다. 사실 통풍 환자에게 요산 결정은 모든 부위에 침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관절에서 염증 및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이 발견됩니다. 통증이 심하며 만성이 되면 관절 파괴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므로 적절한 진단 및 치료, 관리가 필수인 질환입니다.

 

 

통풍의 발병원인

 

통풍은 혈액 내의 요산이 증가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크게 요산의 생산이 과도한 경우와 요산의 체내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고, 이 두 가지의 소인이 다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순히 혈중의 요산 수치가 일시적으로 상승한 경우보다는 고요산 혈증이 일정 기간 이상 (대략 10여 년) 지속된 이후에 통풍으로 인한 통증 (통풍 발작)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혈중 요산 수치가 높을수록 더 쉽게 요산 결정이 생기고 통풍 증상을 유발합니다. 

 

통풍은 대개 하지 관절에 특히 엄지발가락 관절에 흔히 나타납니다.

대개 통풍은 40세 이상의 남성에게서 발생하며, 여성의 경우는 1% 정도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여성 통풍 환자는 폐경기 이후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해 더 낮은 연령대에서도 드물지 않게 통풍이 발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통풍 환자가 늘어났다기보다는 통풍의 소인이 있는 인구의 발병시기가 앞당겨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통풍의 증상 및 악화 요인

 

통풍은 바람만 불어도 아프다는 뜻에서 아플 통(痛)에 바람 풍(風)으로 불립니다. 이처럼 통풍 관절염은 갑작스러운 관절의 심한 부종과 손을 대기 힘들 정도의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특히 엄지발가락이나 발목, 무릎 등 하지의 관절 등을 침범하는 경우가 많고, 그중에서도 엄지발가락이 90% 이상의 통풍 환자에게서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플 통( 痛 )에 바람 풍( 風 )

 

이러한 통풍 증상을 통풍 발작(gout attack)이라고 부르며 일반적으로 년간 일회 정도의 통풍 발작을 겪게 됩니다. 하지만 이후 고요산 혈증을 조절하지 못한다면, 통풍 발작의 빈도가 상승하고 이후 만성 통풍이 되게 됩니다. 고요산 혈증은 통풍 발작의 빈도와 증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이런 경우 상지의 관절들에서도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여러 관절에서 통풍 발작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약 10%가량의 환자들은 심한 열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만성 통풍의 경우에는 관절과 피부 등에 통풍 결절이 발생하기도 하며, 이런 경우 관절 파괴 및 변형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통풍은 대개 밤 시간이나 새벽에 증상을 나타냅니다. 특히 음주나 육류, 생선 등의 섭취, 피로, 탈수, 과도한 운동, 약물 복용, 출혈, 수술, 감염, 항암치료 등으로 인해 통풍의 급성 발작을 유발되기도 합니다. 특히나 앞서 소개한 대부분의 경우처럼 혈액 내의 요산 농도가 상승할 수 있는 경우에 통풍의 발작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암 치료 중인 환자의 경우가 아니라면 술과 고기를 먹고 마신 후에 새벽에 갑자기 엄지발가락의 관절이 부어오르면 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한 경우입니다. 

 

은 체내의 요산 생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배설을 억제하므로 혈중 요산 농도를 올리는 작용을 하며, 특히나 맥주를 섭취할 경우 다른 술에 비해서도 더 높은 혈중 요산 농도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붉은 고기나 생선을 섭취하는 경우에도 단백질이 소화되는 과정에서 요산을 생산하게 되므로 통풍에 악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통풍의 치료

통풍 환자는 동반된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통풍 환자들의 사망 원인은 통풍보다는 동반 만성 질환의 합병증으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통풍 자체만큼 동반된 질병들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통풍의 치료는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고요산 혈증의 조절

 

통풍 발작의 증상의 조절

 

약물치료와 식이조절

 

동반된  질환의 교정

 

 

통풍의 치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2020/06/23 - [분류 전체보기] - 익산 통풍 (gout) - 바람만 불어도 아픈 통증 - 2

 


익산바른정형외과

관절전문병원


 

댓글 영역